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100 No. pp.153-191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24.34.3.6.153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24.34.3.6.153
Research Trends in Correctional Counseling: A Focus on Papers from 2005 to June 2024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correctional counseling research based on theses and journal articles from 2005 to June 2024. A total of 129 papers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rrectional counseling research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12, with a significant surg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sychotherapy Department” at the Correctional Headquarters, doubling the number of studies. The majority of the papers were published in the Asia Correctional Forum (36 papers, 27.91%) and the Korean Correctional Society (13 papers, 10.08%). This indicates that the focus of correctional counseling research is more on corrections than on counseling theory, based on the unique nature of correctional counseling.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primarily inmates, accounting for 92 papers (71.32%), while studie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families of inmates, which could influence the inmates’ psychological aspects, were limited to only 1 paper (0.78%).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58 papers (44.96%), while qualitative studies comprised 15 papers (11.63%). Fourth, the themes of correctional research were predominantly correctional counseling (42 papers, 32.56%)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personality traits (16 papers, 12.40%). Research based on counseling theories accounted for 23 papers (17.83%).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a new correctional paradigm is emerging, based on a broader definition of corrections in modern society. It aim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correctional counseling by analyzing these trend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correctional counseling.
교정 상담의 연구 동향 : 2005년~2024년 6월 논문을 중심으로
초록
이 연구는 2005년~2024년 6월까지의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교정 상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129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째, 2012년 이후 점진적으로 교정 상담 연구가 증가하였고, 특히 교정 본부 ‘심리치료과’ 신설 이후 2배가량 급증하였으며 아시아교정포럼(36편, 27.91%)과 한국교정학회(13 편, 10.08%) 등에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는 점에서 교정 상담의 특수성을 기반 으로 상담학 측면보다는 교정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은 수용자가 92편(71.32%)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반면 수용자의 심리적 측면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변 환경, 특히 수용자 가족에 관한 연구는 1편 (0.78%)에 그쳤다. 셋째, 교정 연구의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58편(44.96%), 질 적연구가 15편(11.63%)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정 연구의 주제는 교정 상담이 42 편(32.56%), 개인 심리・정서 및 성격 특성 연구가 16편(12.40%)으로 나타났으며, 교 정 상담 연구에 있어 상담 이론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23편(17.83%)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에서 바라보는 교정의 정의, 즉 광 의의 정의를 기반으로 새로운 교정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정 상담 연 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정 상담이 지니는 의미와 시사점을 밝히고, 교정 상담의 방향성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후속 연구의 향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