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83 No. pp.85-104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9.29.2.4.85

Employee Support Programs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 A Lesson from the U.S. Bureau of Prisons

Lee Hyungwoo*,Rhee Dongyoung**
* Associate Professor i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Hannam University/Lead Author.
** Associate Professor in department of politics & public administration, Hallym University/Co-Author.

Abstract

Today’s organizations are developing and executing a variety of employee support programs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organizations, as well as increase the work motivation of its employees. This study examines how such programs are implemented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 and what are the impacts of such programs.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U.S. Bureau of Prisons, we found that the alternative work schedule programs are less utilized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 than other regular public organizations, while the program intended to heal the mental and physical illness of it employees are more widely used in correctional organizations than ordinary public organizations. Also, we found that the programs intended to tackle the health issues and the alternative work schedule programs increase both work efforts and job satsifaction, while the dependent care programs only increase job satisfaction, not work effort.

교정기관 종사자 지원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이형우**,이동영***
* 이 논문은 2019년도 한림대학교 교비연구비(HRF-201904-002)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한남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 제1저자.
*** 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부교수, 교신저자.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사기를 높이고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행하는 각종 지원 프로그램의 참여양상과 그 효과가 교정기관의 맥락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활발히 운영 중인 미국 연방 정부 내 교정기관의 근무자들의 경우, 여타 부서의 공무원들보다 대체근무제도의 참여 비율은 낮은 반면, 신체적/심리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에의 참여비율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대체근무제와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경우 업무노력과 직무만족을 모두 높이는 효과를 보였으나, 가족돌봄 프로그램의 경우 업무노력을 증진시키는 직접효과는 없었으나,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간접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정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