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78 No. pp.27-51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8.28.1.2.27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8.28.1.2.27
A Study on the Marital Status and Single-Person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Offenders under Electronic Monitoring Supervision Program in South Korea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recidivism among offenders under electronic monitoring (EM)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marital status and single family homes of offenders under EM in terms of their links to recidivism. There are approximately 27.2% single-member households among total numbers of households in South Korea in 2016. Routine activity theory demonstrates that offenders of sing-person households are more vulnerable toward criminal victimization and criminal behavior. Few studies have conduct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istics of single-pearson household and recidivism of offenders under EM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data of 6,544 offenders under EM with the aid of Korean Ministry of Justice. The data stems from official EM database that government collected from 2008 to 2017.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about 37.8% offenders belonged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dressed that age, financial status, law-abiding attitude, sex offense, sex offender notification, and sing-person househol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recidivism in unmarried single group model. However, financial status, law-abiding attitude, and sex offender notif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married group model when other factors were constant.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data of 6,544 offenders under EM with the aid of Korean Ministry of Justice. The data stems from official EM database that government collected from 2008 to 2017.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about 37.8% offenders belonged to the single-person household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dressed that age, financial status, law-abiding attitude, sex offense, sex offender notification, and sing-person househol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recidivism in unmarried single group model. However, financial status, law-abiding attitude, and sex offender notific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married group model when other factors were constant. Further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1인 가구 범죄자들의 혼인 관계와 주거 특성에 관한 연구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전자감시 장치를 부착한 범죄자의 거주 특성이 재범 가능 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 사회에서 현재 1인 가구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바, 범죄자가 누구와 어떤 주거지에 생활하느 냐를 살펴보는 것은 지역사회 교정 차원에서 범죄자의 사회복귀 방향을 판가름 짓는 중요한 일이라고 하겠다. 피해자학 입장이 아닌, 가해자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치 추적 전자장치를 부착하고 있는 고위험 범죄자 6,54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1인 가구 비율을 검토하고, 1인 가구와 집단 가구를 혼인관계 및 재범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08년 10월 이후부터 2017년 10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전자장치 부착을 경험한 전체 범죄자이다.
빈도분석 결과, 전체 6,544명 중의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자 중 37.8%가 혼자 살림살이를 하고 있는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것은 전체 범죄자 중 21.2% 가 매우 불안정한 주거 상황에서 노숙을 하거나 숙박업소에서 불규칙한 생활을 하는 주거부정자라는 점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미혼집단 모델에서는 재범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연령(-), 경제상태(-), 법 준수 순응도(-), 성범죄, 신상정보 공개고지, 1인 가구(집단 가구)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집단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경제상태(-)와 법 준수 순응도(-), 신상정보 공개고지 세 변인 만 재범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혼집단 모델과 달리 “1 인 가구” 상황이 기혼집단에서는 재범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교정 실무자 및 범죄학자들은 전자장치 부착 범죄자들의 혼인 관계와 1인 가구 주 거 상황을 초기 개입 단계에서 면밀히 조사하여 맞춤형 지도, 감독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사회 내 재범 방지 및 범죄자 사회복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범죄자의 혼인 상태 및 1인 가구 여부를 재범억제 활동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빈도분석 결과, 전체 6,544명 중의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자 중 37.8%가 혼자 살림살이를 하고 있는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것은 전체 범죄자 중 21.2% 가 매우 불안정한 주거 상황에서 노숙을 하거나 숙박업소에서 불규칙한 생활을 하는 주거부정자라는 점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미혼집단 모델에서는 재범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연령(-), 경제상태(-), 법 준수 순응도(-), 성범죄, 신상정보 공개고지, 1인 가구(집단 가구)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집단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경제상태(-)와 법 준수 순응도(-), 신상정보 공개고지 세 변인 만 재범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혼집단 모델과 달리 “1 인 가구” 상황이 기혼집단에서는 재범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교정 실무자 및 범죄학자들은 전자장치 부착 범죄자들의 혼인 관계와 1인 가구 주 거 상황을 초기 개입 단계에서 면밀히 조사하여 맞춤형 지도, 감독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사회 내 재범 방지 및 범죄자 사회복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범죄자의 혼인 상태 및 1인 가구 여부를 재범억제 활동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