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68 No. pp.147-175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5.68.5.147

A study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Inmates- Focusing research on the Cheonan prison potato hydroponics -

Bak Gwang sik*⋅Jeong Sang Gyu*
*Doctor Course in Kyonggi University
**Lieutenant, Cheonan Correctional Institution

Abstract

risoners have been relatively important to recognize mental rather than treatment of the stability and technical guidance that can lead to changes in the inside. So it look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campus, correctional programs that can lead to changes in the needs of inner and carrying prisoners. In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RDA of five departments, including release prisoners prospective employment, business start-up support agreements for the occasion, calibration of horticulture in some prisons, correctional effect of raising awareness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related to caring healing properties It requires a systematic and complet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for horticulture with a high professional calibration rehabilitated.
While the male prisoners live their sentences in prison, the correctional program provided by the calibration authorities helps them have behavioral and emotional attitude and smooth reintegration in order to avoid committing the offense again.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천안교도소 고구마 수경재배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

박광식*,정상규**
*경기대학교 교정보호학과 박사과정
**천안교도소교위

초록

수형자들은 심적인 안정과 내면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지도를 기술적인 처우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수형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내면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정·교화프로그램*1)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법무부와 농촌진흥청등 5개 부처의‘출소예정자등의 취업, 창업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계기로, 일부 교도소에서 원예의 교정, 교화효과를 인식하고 원예활동의 양육, 돌봄 등과 관련된 치유적 특성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완성도 높은 전문 교정교화용 원예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요구하고 있다.
교도소에서 수형자들이 수형생활을 하는 동안 교정당국에서 제공하는 교정프로그램을 통하여 새로운 이념과 가치관을 형성 정서적 행위적 태도를 새롭게 형성하게 함으로써 원활한 사회복귀를 돕고 나아가 출소 후 다시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Figure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