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68 No. pp.39-66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5.68.2.39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5.68.2.39
Study on Effectiveness of Batterer Treatment Programs for Domestic Violence about the Domestic Violence Offenders- Focused on Marital Conflicts, Violence, Anger, Communication, Self Awareness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omestic violence program based on the domestic violence offender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the marital conflicts, violence, anger, communication, self awarenes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of the domestic violence program. In the result, the post-score of the marital conflicts, violence, anger, negative communication variable was lower than the pre-score, and the post-score of the positive communication variable with themselves was higher than pre-score.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post-score of variables, the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mselves and marital conflicts had draw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fter programs, the majority of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hat had the positive change of the domestic violence program behavior change, physical violence, efforts at home. This result means that the domestic violence program based on the offenders lowers the negative variables level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increases the positive variable level connected to the behavior chang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e specific suggestions about the domestic violence program.
가정폭력 가해자에 대한 교정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부부갈등, 폭력, 분노, 의사소통, 자아인식을 중심으로 -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가해자를 대상으로 한 가정폭력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갈등, 폭력, 분노, 의사소통, 자아인식이 프로그램 전과 후에 어떤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갈등, 폭력, 분노, 부정적 의사소통 변인은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자기 자신과 긍정적 의사소통 변인은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각 변인들의 사전, 사후 점수의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갈등과 자기 자신, 긍정적 의사소통이 유의미한 통계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대다수 연구 참여자들은 가정폭력 프로그램이 행동 변화, 신체적 폭력 행사, 가정에서의 노력 등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가해자 대상 가정폭력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의 부정적 변인들의 수준을 낮추고, 긍정적 변인들을 수준을 높이며 행동 변화로까지 연결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