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68 No. pp.7-37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5.68.1.7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5.68.1.7
A criticism on the existing study and contents of the correctional liberal arts in korea
Abstract
Traditional correctional education on moral education and curricular education has settled on a way of main rehabilitation for prisoners turned into educational penology paradigm. But the traditional correctional education had basic limit because it ended in failure to draw inner change for them. In 2007,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prisoners was beginning to make its appearance to establish individual reflection inner change, and critical citizenship on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The social concern with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them has been growing for the last several years. Several studies have been made on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prisoners in korea and have focused on the micro correctional liberal arts on individual reflection for them but existing sudies on the correctional liberal arts for them overlooks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its power character and correctional psychology. I take a position against the existing.
Therefor, I asserted in this study that correctional liberal arts should have simultaneously micro aspects and macro aspects on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stabish its identity.
Therefore, I show diverse aspects about correctional liberal arts inclusive of restorative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judicial liberal arts and so on in korea through my original concepts.
Therefor, I asserted in this study that correctional liberal arts should have simultaneously micro aspects and macro aspects on social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estabish its identity.
Therefore, I show diverse aspects about correctional liberal arts inclusive of restorative correctional liberal arts and judicial liberal arts and so on in korea through my original concepts.
교정인문학의 현황과 선행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
초록
도덕교육, 학과교육과 같은 전통적인 교정교육은 수형자에 대한 교정이념이 교육형주의로 변화된 이후 주요한 교정교화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적인 교정교육은 수형자의 내면적 변화를 도출하는데 실패하여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때마침 인문학의 열풍에 힘입어 수형자의 개인적 성찰과 비판적 시민성의 함양을 위하여 2007년도에 교도소에서도 교정인문학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최근 수년 동안 교정인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 수년 동안 교정인문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개인적 성찰이라는 미시적 인문학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교정인문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비판적 시민성의 함양이라는 사회적, 거시적 인문학을 간과 했고 교정인문학의 권력성과 교정심리 등 다양한 측면의 논점을 간과하고 있다. 저자는 그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저항 담론을 가지고 있으며 교정인문학은 미시적 측면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에서도 접근해야 하며 학제적 접근을 통해 접근해야만 교정인문학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고 운론하였다. 따라서 교정인문학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회복적 교정인문학, 사법적 인문학, 형평적 인문학 등 교정인문학의 방향을 독창적으로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