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6809(Print)
ISSN : 2466-0698(Online)
Correction Review Vol.66 No. pp.171-196
DOI : https://doi.org/10.14819/krscs.2015.66.7.171

A Study on human rights attitudes and behaviors of Juvenile officials

Yoon Na, Kim*, Hwa Sook, Song**
* Assistant Professor, Seoul Cyber University
** The Head, Incheon Probation Office

Abstract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detention center officials. For identify the relevant target variables affecting human right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long-term, practical measures of aboriginal adolescents. Develop relevant indicators through the juvenile status and previous studies analyzed for this purpose, and in August 2014, from 16 September to 27 national juvenile court judges and classification were sent to each administrative support to the questionnaire.
Engaged in the juvenile detention center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uditors official total of 435 people. The higher grade results, the agency situation, the higher the efficacy of human rights attitudes and behavior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larify the level of juvenile diagnose human rights official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to be looked at in terms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explore the development plan.

소년원 보호직 공무원의 인권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김윤나**, 송화숙***
**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청소년복지전공 조교수, kimyoonna@hanmail.net
*** 중앙대학교 청소년전공 박사수료, 인천보호관찰소 소장, hsh106@moj.go.kr

초록

본 연구는 소년원 보호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권태도와 행동실태를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파악하여 소년원생의 인권보장과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고자 실시된 것이다. 이를 위해 소년원 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 하여 관련 지표를 개발하고 2014년 8월 27일부터 9월 16까지 법무부의 협조를 받 아 전국 소년원 및 분류심사원 각 행정지원과로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소년원 및 분류심사원에 종사하는 소년원 보호직 공무원 총 68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 였으며(관리운영직, 기간제 제외) 무응답을 제외한 분석대상은 최종 435명이었다. 연구결과 직급이 높아질수록, 기관상황,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인권태도 및 행동 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년 원 보호직 공무원의 인권수준을 명확히 진단하고 인권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통계방법을 통한 분 석이라든지 직접적으로 소년원 보호직 공무원의 인권수준이 소년원 청소년에게 영 향을 미치는 상황, 맥락에 관한 부분의 부재는 본 연구의 한계이자, 향후 후속연구 의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Figure

    Table